광주 군공항 이전, 공감 속 불신…합의점 찾을 수 있나

광주 군공항 이전…다음 달(12월) 6자 TF 구성·첫 회의 열려 광주 민간공항 선 이전·1조 원 지원 방식·국가 차원 인센티브 등 쟁점 남아 "광주시가 약속한 1조원 현금 아니더라도 사업으로 보여줘야"

2025-11-25     장혜원 기자

 

[앵커]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오랜 갈등 끝에 조금씩 해법을 찾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반대해왔던 무안군 주민들까지 정부 중재안의 큰 틀에는 공감한다는 입장인데요.

하지만 핵심 쟁점이 여전히 남아 있어 앞으로 열릴 회의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보도에 장혜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년간 군공항 이전 문제로 갈등을 빚어온 광주시와 무안군.

광주시는 소음과 환경 문제 해소를 이유로 군공항 이전 필요성을 제기해 왔습니다.

이에 무안군과 주민들은 지역 부담이 커지고 실익이 불분명한 데다 광주시가 충분한 협의 없이 추진하고 있다며 반발해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대통령 타운홀 미팅 이후 이전 논의가 구체화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정부와 광주시, 전라남도와 무안군이 참여하는 4자 회담이 열렸고, 이재명 대통령이 국방부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을 추가해 6자 전략팀 구성을 지시하면서 논의에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그동안 이전을 반대해온 주민들도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에 일부 공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총무 / 광주전투비행장무안이전 반대 사무국장:"이게 광주만의 기부대양여 방식인데요. 광주로 했을 때는 신뢰성이 없었지만 정부가 주도하고 지원을 약속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신뢰성을 가지게 됐습니다."]

[cg1]

이번 회담이 실질적인 진전으로 이어지기 위해 무안군이 제시한 요구안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광주 민간공항의 선(先)이전, 1조 원 지원의 구체적 방식 마련, 그리고 국가 차원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제시입니다. //

그동안 광주시는 무안군 지원 규모를 1조 원으로 제시했지만 구체적인 방식은 미흡했습니다. 

군공항 이전 반대 주민들은 광주시가 약속한 1조 원이 현금이 아니더라도 사업 형태로 반드시 이행돼야 하며, 군공항 이전보다 앞서 사업이 착수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정총무 / 광주전투비행장무안이전 반대 사무국장:"광주가 약속했던 1조 원 부분은 현금은 아닐거고 사업으로 줄거라 생각하는데 그런 부분들이 군공항이 이뤄지기 전에 먼저 공사 사업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6자 전략팀의 첫 회의가 다음 달(12월) 열릴 예정인 가운데, 무안군과 전라남도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핵심 쟁점을 둘러싼 구체적 해법이 어떻게 제시될지에 따라 군공항 이전의 향방이 결정될 전망입니다.

헬로TV뉴스, 장혜원입니다.

#영상취재 홍현동

#그래픽 서석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