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수도권에 전세 매물이 급감하는 현상이 늘고 있습니다. 여름철 비수기 영향도 있겠지만 전세 계약 갱신권 사용이 늘고 신규 입주 아파트에서 전세보증금으로 분양 잔금을 치르지 못하는 등 최근 바뀐 부동산 정책의 영향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대표 연결해 최근 수도권 전세시장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대표님, 최근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아파트 전세 물건이 급감하는 현상이 늘고 있는데요, 계절적 요인도 있겠지만 지난 6.27 대책의 영향일까요?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대표]

전세 매물 급감은 우리가 예상했던 일입니다. 6.27 대책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실거주 요건이 강화됐기 때문에 집을 사는 분들은 대출을 받아서 실제 입주를 해야 되는 문제가 있는 거고요. 또 세입자 입장에서 본다면 집을 사려고 했다가 대출 이자가 나오면서 주택 시장이 주춤하다 보니까 그냥 눌러 앉아서 새롭게 나가거나 갱신하지 않고 그냥 눌러앉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수요는 늘어나는데 전세 공급은 줄어들면서 결국에는 전세 매물도 줄어들고 있는데, 이 문제는 내년이 더 심각할 것 같습니다. 내년 되면 입주 물량이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 지역들 모두 다 급감하기 때문에 전세 문제는 내년이 본격적으로 시작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이렇게 전세 매물이 줄기만 하고 다시 늘지 않으면 전세가격이 상승할까 걱정인데요, 어떻게 예측하십니까?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대표]

당연히 매물이 줄어들고 수요가 늘어나면 전세 가격 상승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요. 내년이 더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내 집 마련 또 전셋집을 구해야 되는 분들은 발 빠르게 올해 빨리 움직이는 게 좋을 것 같고요. 정부에서 인제 어떤 대책이 나오느냐 전세 대출에 대해서 뭐 dsr이라든지. 대출 규제가 나올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되면 전세 가격 상승은 약간 제한이 될 수는 있습니다만 매물이 늘어나는 효과는 없고 오히려 더 희소해질 수 있기 때문에 전세를 구하시는 분들이라면 규제가 나오기 전에 물량이 줄어들기 전에 미리 올 하반기에 움직여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부동산 시장에서는 전세 거래가 줄면서 월세 거래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는데 세입자들에겐 부담이 아닐까요?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대표]

일단 동반 진행되는 상황이고요. 월세화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전세 대출 규제 움직임이 나오고 있는데, 전세 대출을 규제하는 순간 월세화 속도는 훨씬 더 빨라질 것이고요. 월세로 전환되게 되면 우리 세입자들이 종잣돈을 모으기 굉장히 힘들어지고 내 집 마련하기 더 힘들어지기 때문에 국가적으로도 세입자의 주거 안정을 위해서 월세화 속도가 빨라지는 점에 대해서는 우려를 가지고 그에 따른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앵커]

전세보증금으로 입주 아파트 분양잔금을 치르지 못하는 등 갭투자 방지 대책으로 중저가 신규 입주 전세 공급까지 줄었는데 보완 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대표]

워낙 서울 집값이 급등했기 때문에 6.27 대책은 불가피한 부분은 있는데, 이런 실수요자들에 대한 피해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디테일하게 보완을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지금 조건부 전세 대출도 규제를 했습니다만 편법으로 미리 이전 집주인이 뭐 계약을 하고 한다든지 여러 가지 편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제 급한 불을 껐다면 조건부 전세 대출이라든지. 대환대출이라든지. 실수요자들이 피해 볼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좀 완화를 해 준다든지 보완이 좀 필요해 보입니다.

 

[앵커]

네 수도권 전세 매물 급감과 관련한 이야기, 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대표였습니다.

헬로tv뉴스

유튜브에서 헬로tv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제보] 카카오톡 '헬로tv뉴스' 검색 후 채널 추가

저작권자 © LG헬로비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