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역의 이슈를 속시원히 풀어보는 헬로 이슈토크입니다. 부천고등학교가 27년부터 과학고로 전환됨에 따라 갈 곳이 없었던 부천고 운동부가 새로운 둥지를 찾았습니다. 바로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인데요. 지난 28일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는 학교 운영위원회를 열고 부천고의 야구부 이전 수용에 찬성했습니다. 6개월 넘게 논란이 됐던 부천고의 운동부 문제가 일단락됐는데요. 자세한 내용, 짚어봅니다. 함께 할 두 분, 박찬희 부천시의원과 정진욱 한국경제신문 차장, 자리했습니다. 

 

[박찬희 부천시의원]

[정진욱 한국경제신문 차장] 

 

1. 부천고 운동부 김포로 간다?

정진욱/

올해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로 이전키로

부천고 야구부 전원 김포과학기술고로 옮겨 운동

2027년 과학고 전환 확정으로 야구부 폐지 운명

특목고로 전환 시 운동부 운영 불가

 

2. 김포과학기술고로 가게 된 배경?

박찬희/

"다행히 부천교육지원청 발 빠르게 움직여"

학부모 측으로부터 "김포 지역 학교에서 받을 수 있는 상황" 전달받아

부천시와 교육지청, 김포 지역 학교에 적극 연락

김포과학기술고에서 야구부 수용키로 최종 결정

 

3. 김포과학기술고 야구부 수용 배경?

정진욱/

김포과학기술고 수용 희망, 민주적 절차 통해 결정

경기교육청에서 창단 비용과 운영비 지원 약속

"지원 금액 약 1억 원가량 예상"

경기도교육청 TF 통해 지원, 1학년생 모집 예정

 

3-1. 야구부 활동 시설 제대로 갖춰졌나?

정진욱/

"김포에 야구 시설 인프라 잘 돼 있어"

"학교가 운영할 것인지 TF 통해 진행"

 

4. '운동부 이전', 운동부 학생과 학부모들의 반응은?

정진욱/

"야구부 학생과 학부모 한시름 놔"

"신입생 문의도 있어, 안정 찾아가"

"부천 시민들과 부천고 출신들 아쉬움 표해"

 

5. 김포과학기술고에 대한 지원은?

박찬희/

경기도와 도교육청, 도체육회에서 지원키로

5년간 4억 원 지원…시설 개선 등 인프라 지원

운동부 지원 인력, 행정 지원 절차도 마련키로

"김포시체육회와 김포야구협회 환영…기대감 커"

 

5-1. 사이클부 학생들은 어디로?

박찬희/

"팀플레이로 움직이는 야구부가 급했던 상황"

"반면 개인 경기인 사이클부는 이전 어렵지 않아"

"부천고 사이클부, 수준 높고 성적 우수"

"시간적 여유 있어, 충분히 논의 후 옮길 것"

 

6. 부천에서 점점 사라지는 운동부?

정진욱/

"학령 인구 감소로 운동 선수 폭 줄어"

"학교와 학부모 부담 커져 운영 쉽지 않아"

"엘리트 체육에 대한 사회적 시선 달라져"

"과거 엘리트 체육으로 가기 어려워"

"생활체육, 동아리 활동, 스포츠클럽 활동 활발"

"학교 스포츠 패러다임 바뀌어"

"학생들, 특정 종목에 매이지 않고 다양한 체육활동 경험"

"소수 아닌 다수 학생들에 체육활동 기회 확대"

 

7. 27년 부천 과학고 개교 문제없나?

박찬희/

"재정적 문제가 가장 커"

"내년 예산 270억 원 투입돼야 할 상황"

"시설 개선비는 오롯이 부천시 몫"

'경기형' 과학고는 정부 지원 불가능한 상황

"과학 인재 육성은 국가적 과제와 맞닿아"

"정부에 재정 및 행정적 지원 신청해야"

"부천시 재정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워"

"정부 재정 지원받기 위한 노력해야"

 

8. 과학고 전환 필요 예산 400억 원 확보됐나?

박찬희/

"내년 투입돼야 할 예산은 부천시가 감당해야"

정진욱/

"479억 원 전액  부천시의 몫"

부천시 "20~30%가량은 시·도비 확보에 노력"

"성남시, 부지비 포함해 800억 원 투입돼야"

"시·도비 배분 시 부천시가 얼마나 가져올지 정치권에서 노력해야 할 몫"

 

9. 과학고 반대 목소리는?

정진욱/

"지역 인재 유출, 일반고 황폐화 우려 커"

"조기학습 과열 등 반대 목소리도 나와"

"과학영재 육성에 대한 지역 공감대 형성"

"반대 목소리 낮아진 상황"

"부천 과학고 설립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박찬희/

"과학고 발표 이후 운동부 존폐 두고 반대 커져"

"이전 확정 후 김광민 도의원 별다른 입장 안 보여"

"부천고 출신 김기표 국회의원, 해결에 적극 나서"

"시민단체들, 현재 구체적인 반대 의사 표명 없어"

 

10. 수주고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선정

박찬희/

자율형 공립고, 10개 추가 지정해 경기도 31개 지정

자율형 공립고는 학사과정, 교육과정, 학년제, 학기제 등 공교육 틀에서 지역 특색 반영해 탄력적, 자율적 교육과정 진행

수주고, 자율형 공립고 지정으로 매년 2억씩 10억 지원

향후 AI 디지털, 지역 기반 복원 생태 융합 과정 등 개설 약속

정진욱/

"자율형 공립고, 학교에 많은 권한 줘"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

"고질적 교육 문제 해결될지 주목"

"다만 정착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 필요"

 

 

앵커> 

헬로 이슈토크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시청해 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헬로tv뉴스

유튜브에서 헬로tv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제보] 카카오톡 '헬로tv뉴스' 검색 후 채널 추가

저작권자 © LG헬로비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