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APEC 성공 개최의 성과를 이어갈 경북도의 사업 방향성이 나왔습니다.

경북도는 세계 경주 포럼을 통해 세계 각국과 문화 교류를 이어가는 등 글로벌 10대 문화관광거점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천년의 유산과 APEC 인프라를 활용한 경북도의 새로운 도약이 기대됩니다.

홍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상북도 포스트 APEC 사업은 문화에 방점이 찍혔습니다.

경북도는 19일 포스트 APEC 추진전략보고회를 열어 3대 분야 10대 사업을 발표했습니다.

가장 먼저 경주 천년의 유산과 APEC 인프라를 활용해 세계 경주 포럼을 열고 이를 정례화하겠다는 것인데, APEC 회원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교류와 한류 확산의 교두보로 삼겠다는 것입니다.

[김병곤/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 "세계 역사·문화·환경·경제 정상 회의로 달성하여 각국 정상·국제기구·글로벌기업CEO가 참여하는 정상급 회의로 발전시키겠습니다. 이를 통해 경제는 다보스, 안보는 뮌헨, 역사·유산은 교토, 문화·창조 산업은  경주라는 새로운 글로벌 모델을 만들어가겠습니다."]

또 APEC 연합도시 협의체를 구성해 개최 도시들과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고 글로벌 10대 문화 관광 거점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APEC 정상 회의에서 공식화됐던 아시아·태평양 AI 센터도 설립합니다.

여기서는 AI 윤리와 표준, 정책, 인재 양성 등 국제적 주제에 대해 논의하고 경북은 의제를 선점함으로써 글로벌 AI 공동체의 핵심 거점이 되겠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포항과 구미, 안동과 예천의 데이터센터를 연결하고, 대구와 경산의 인재 양성을 연계해 AI 미래 공동체를 만들겠다는 계획도 나왔습니다.

[최혁준/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 "도정 전분야에 대해서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사님께서 말씀하셨다시피 AI 고속도로와 연계된 5대 도시권을 통해서 대한민국 AI 미래 공동체를 구축하고 경상북도 전역에 AI 선도산업이 구석구석 스며들 수 있도록 준비하겠습니다."]

이 밖에도 인구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을 만들고 인구정책 포럼을 유치하겠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경북도는 APEC을 계기로 관광객이 늘고, 호텔 투자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러한 효과가 경북 전역에서 나타날 수 있도록 광역 사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철우/경북도지사: "우리 문화가 많이 알려져 있고 K-푸드에 대해서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문화도 수출하고 K-푸드를 수출하는, 경상북도에서 잘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것들 수출도 하고 투자도 받는 APEC의 효과가 있도록 하겠습니다."]

경주 APEC이 경북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마련한 사업들.

이 사업들이 경북 전체에 얼마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헬로tv뉴스 홍아영입니다.

영상취재 유영훈

헬로tv뉴스

유튜브에서 헬로tv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제보] 카카오톡 '헬로tv뉴스' 검색 후 채널 추가

저작권자 © LG헬로비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