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통일신라에서 고려에 이르기까지 함안 지역 불교문화의 핵심 사찰이었던 의곡사지가 5년간의 발굴조사를 통해 전체 윤곽을 드러냈습니다.

오랫동안 이름조차 알려지지 않았던 이 사찰 터는 최근 조사 성과로 역사적 위상이 새롭게 확인됐습니다.

표영민 기자입니다.

 

LG헬로비전 자료화면. 재판매 및 DB금지
LG헬로비전 자료화면. 재판매 및 DB금지

[리포트]

함안군 광려산 자락에 자리한 의곡사지.

공동묘지 조성 과정에서 유물이 쏟아지며 존재가 처음 알려졌습니다.

당시 사찰 이름을 알 수 없어 '강명리 사지'로 불렸지만, 지난 2021년 명문 기와가 발견되며 의곡사라는 이름이 확인됐습니다.

이어진 발굴 결과 탑지, 금당지, 대형 석축 등 전통적인 사찰 건축의 틀인 가람 배치가 드러났습니다.

특히 통일신라 불상 9구와 청동 소탑, 철제 종 등 다양한 불교 유물도 출토됐습니다.

[기자 : 제가 서 있는 이곳은 의곡사지의 중심부입니다. 수백 년 동안 흙 속에 묻혀 있던 사찰 터와 흔적들이 조사 끝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LG헬로비전 자료화면. 재판매 및 DB금지
LG헬로비전 자료화면. 재판매 및 DB금지

함안군과 불교문화유산연구소 등은 25일 5년간의 조사 성과를 정리한 보고회를 열었습니다. 

보고회에서는 사찰의 가람 배치 체계와 출토 유물 등 의곡사지에 대한 연구 자료가 일반에 처음 공개됐습니다.

특히 고려 시대 중창 사실을 알려주는 '의지승 진기' 명문 기와와 경주 왕경 형식의 기와 등이 확인돼 의곡사가 당시 지역을 대표하는 중심 사찰이었음이 규명됐습니다.

[이영환/불교문화유산연구소 발굴2팀장 : 왕실 사찰급에 대형 사찰이 나왔다는데 큰 의미가 있고요. 그리고 단일 유적에서 금동 불상과 청동 유물들이 쏟아져 나왔다는 것은 국가 사찰이나 왕실 사찰 아니고서는 출토되지 않거든요. 아마도 함안지역에서도 가장 

LG헬로비전 자료화면. 재판매 및 DB금지
LG헬로비전 자료화면. 재판매 및 DB금지

함안군은 의곡사지의 국가 사적 지정을 추진해 체계적인 발굴과 격이 높은 사찰이지 않았을까라는 성과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함안군은 의곡사지의 국가 사적 지정을 추진해 체계적인 발굴과 함께 문화·관광 자원화에 나설 계획입니다.

오랜 시간 베일에 가려졌던 함안 의곡사지.

그동안의 발굴 조사로 함안의 불교문화의 존재감과 위상이 세상에 드러났습니다.

헬로tv뉴스 표영민입니다.

 

[영상취재 : 주성호]

 

헬로tv뉴스

유튜브에서 헬로tv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제보] 카카오톡 '헬로tv뉴스' 검색 후 채널 추가

저작권자 © LG헬로비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