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향사랑기부제가 어느덧 5개월째를 맞고 있습니다.

전국 곳곳에서는 기부 행렬까지 이어지고 있지만 지역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송효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고향사랑기부제가 시행된 지 어느덧 5달째.

여전히 전국 곳곳에서는 기부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단체장들까지 나서 자매 도시에 기부하는 등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부액 편차는 지역별로 크게 갈렸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행정안전부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올해 1월 1일 제도가 시행된 이후 3월까지 가장 많은 금액을 모금한 곳은 경북입니다.

도청을 제외한 23개 지자체에서 총 21억 968만 원을 모금했습니다.

전북은 도청과 14개 지자체 중 8곳만 내역을 공개했는데 이 금액만도 12억 원이 넘습니다.(12억1천957만 원)입니다.

강원도 역시 도청과 18개 지자체에서 10억6천431만 원을 모금했습니다.

반면 실적을 비공개한 서울을 제외한 인천과 경기 등 수도권은 저조합니다. 

경기도의 경우 도청을 제외한 31개 시·군에서 4억1천290만 원, 인천은 1억 원에도 미치지 못한 7천632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대전 역시 9천480만 원, 세종 2천641만 원 등 1억 원 미만이었습니다.

지역을 세부적으로 보면 전북 임실이 3억1천476만 원, 전북 순창 2억7천433만 원, 경북 예천 2억3천752만 원 등 군 단위에서 모금액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북 임실은 치즈, 순창은 장류, 예천은 캠핑장 할인권을 답례품으로 내세워 인기몰이에 성공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처럼 수도권과 비수도권 외에도 대도시와 농어촌 지자체 간 격차도 컸습니다. 

인천의 경우 인구 300만 명 가까이 되지만 1억 원도 채 되지 않았고, 대구 역시 200만 명이지만 겨우 1억 원을 넘겼습니다.

반면 5만 명도 채 되지 않는 비수도권 군 단위에서는 이와 비슷하거나 높게 모금됐습니다.

이는 고향사랑기부제가 기본적으로 대도시나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의 농촌, 어촌, 산촌 등에 유리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이도형 청운대학교 연구교수 : 고향사랑기부제 취지 자체가 인구 소멸 위기를 겪는 지방에 재정을 확충하고 애향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제도이다 보니 아무래도 수도권과 대도시가 비수도권, 시·군 단위의 소도시에 비해서 실적이 저조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은 수도권·대도시에는 기본적으로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답례품의 질이 기부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자체의 재정 상황에 따라 기부금 규모의 차이를 부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해법은 없을까.

양 의원이 국회입법조사처에 고향사랑기부제 입법 개선 방향을 의뢰했는데, 광고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제도를 홍보하게 하고 현재 살고 있는 지역에도 기부할 수 있게 제도가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습니다.

이 외에도 답례품 개발은 물론 그동안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기금을 모집하는 형태로 여러 분야에서 도입돼 운영되고 있는 크라우드펀딩 도입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도입 5개월째를 맞는 고향사랑기부제.

개선점을 충분히 반영해 균형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해 봅니다.

헬로티비 뉴스 송효창입니다.

# 취재기자 송효창

  영상취재 김인환

  그래픽 박민희

헬로tv뉴스

유튜브에서 헬로tv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제보] 카카오톡 '헬로tv뉴스' 검색 후 채널 추가

저작권자 © LG헬로비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